서브네팅
서브네팅은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다시 여러 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다. IPv4의 IP주소를 서브네팅하는 방식으로 FLSM, VLSM등이 있는데, FLSM방식의 서브네팅을 하는 방식을 알아보자.
예시) 192.168.1.0/24 을 3개의 subnet으로 나누기
- 주소의 마지막 /24부분이 서브넷 마스크이므로 이에 주목해야 한다.
- 본래 IPv4주소는 8bit씩 4개, 즉 32bit로 이루어진다. 각 8bit는 점(.)으로 분리해서 표기한다.
- 24는 네트워크ID를 표기하도록 24bit를 사용하라는 의미이다. 그러므로 32 - 24 = 8, 남은 8bit로 호스트ID를 구성해 서브네팅을 한다.
- 8bit를 우선 4등분하여 6bit씩 분배한다. 이는 2의 6승이므로, 10진법으로 64이다. 이를 주소의 마지막 부분에 할당하면 서브네팅이 완성된다.
- 네트워크는 192.168.1.0~63, 192.168.1.64~127, 192.168.1.128~191, 192.168.1.192~255 로 4개가 된다.
- 3개의 subnet으로 나누기로 하였으니, 네번째 네트워크는 사용하지 않는다.
- 각 네트워크의 첫 주소는 '네트워크 주소', 마지막 주소는 '브로드캐스팅 주소'이며 사용자가 쓸 수 있는 호스트에 포함되지 않는다.
결과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.
네트워크 | 네트워크 주소 | 브로드캐스트 주소 |
1 | 192.168.1.0 | 192.168.1.63 |
2 | 192.168.1.64 | 192.168.1.127 |
3 | 192.168.1.128 | 192.168.1.191 |
4 | 192.168.1.192 | 192.168.1.255 |
예시) 주소 192.168.1.132, 서브넷 마스크 255.255.255.192일 때
- 서브넷 마스크가 255.255.255.192라는 것은, 255라고 쓴 부분이 전부 네트워크ID를 위해 사용하고 나머지를 호스트ID로 사용하라는 의미이다. 즉, 256 = 8bit임을 생각하면 0~255 = 256 = 8bit씩 할당한 것이다.
- 남은 8bit를 4개로 나눠서 서브네팅하면 된다.
- 이는 위 예제에서 /24와 동일하게 255를 4부분으로 분배하면 된다.
- 위에서 작성한 표를 보면, 192.168.1.132는 마지막 부분 132가 128~191사이에 있으므로 3번째 네트워크에 있다.
- 주소의 네트워크 주소는 192.168.1.128이며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192.168.1.191이다.
- 3번째 네트워크에서 주소는 총 2의 6승, 즉 64개가 있으며, 여기서 네트워크/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하면 사용 가능한 호스트의 수는 62개이다.